건강한 삶을 위한 한 걸음

건강한 삶을 위한 HowMindLab의 한 걸음

건강한 삶 HowMindLab

건강

등산 전 필독! 가을 산행 중 사고를 막는 7가지 수칙

howmindlab 2025. 10. 29. 10:23

가을 산행은 날씨가 좋아 방심하기 쉽습니다. 하지만 기온·습도·지형 변화로 인한 ‘가을형 사고’는 오히려 여름보다 많습니다. 안전하게 즐기기 위한 7가지 핵심 수칙을 소개합니다.

 

※ 이 글은 의학적 진단이나 치료를 대신하지 않습니다. 증상과 치료는 반드시 전문의 상담 후 진행하세요.

 

"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”

목차

1. ‘선선한 날씨’의 함정 — 체온이 아니라 ‘수분 손실’을 경계하라

2. “익숙한 산이라 괜찮겠지” — 가을엔 지형이 달라진다

3. ‘짧아진 해’가 부르는 판단 착오 — 일몰 시간 역산하기

4. ‘아침엔 춥고 점심엔 더운’ 일교차 — 탈진의 진짜 원인

5. 낙엽길은 ‘마찰력 30% 감소’ — 미끄러짐 예방은 발보다 시선

6. ‘가을 감기’보다 무서운 건 ‘저혈당 실신’

7. 조난의 70%는 ‘혼자 등산’ — 동행이 없다면 ‘위치 공유’는 필수

8. 자연은 언제나 ‘준비된 사람’에게만 미소 짓는다

 

1. ‘선선한 날씨’의 함정 — 체온이 아니라 ‘수분 손실’을 경계하라

가을에는 땀이 덜 난다고 생각해 물을 적게 마시는 사람들이 많습니다.

하지만 건조한 공기와 바람은 ‘숨을 쉴 때마다 수분을 빼앗아 갑니다’.

게다가 고도 상승으로 인해 산소 농도가 낮아지면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기 쉽죠.

👉 실천 팁:

  • 30분마다 한 모금씩 수분 보충
  • 미지근한 물 또는 전해질 음료 준비
  • 땀이 식기 전에 바람막이 착용

2. “익숙한 산이라 괜찮겠지” — 가을엔 지형이 달라진다

가을은 낙엽과 낙지(落枝, 떨어진 나뭇가지)로 인해 길의 형태가 완전히 바뀌는 계절입니다.

평소 오르던 등산로라도 미끄러짐 사고가 많고, 사소한 경사가 ‘낙상 구간’으로 변하기 쉽습니다.

👉 실천 팁:

  • 나뭇잎 아래 돌·뿌리를 주의
  • 트레킹 스틱은 ‘지탱용’이 아닌 ‘길 찾기 도구’로 활용
  • 등산화 밑창 마모 여부 반드시 확인

3. ‘짧아진 해’가 부르는 판단 착오 — 일몰 시간 역산하기

가을의 해는 생각보다 빠르게 집니다.

서울 기준으로 10월 일몰은 오후 6시 전후, 산속은 그보다 30~40분 빨리 어두워집니다.

길을 잃는 사고의 상당수가 **“조금만 더 가보자”**는 심리에서 시작됩니다.

👉 실천 팁:

    • 출발 전 일몰 시간 확인
    • 하산 목표는 ‘오후 3시 이전’
    • 헤드랜턴 필수, 스마트폰 라이트는 비상용

에너자이저 비전 HD+ LED 헤드랜턴 아마존팩 HDCA32, 1개


4. ‘아침엔 춥고 점심엔 더운’ 일교차 — 탈진의 진짜 원인

가을 산행의 적은 추위보다 **‘체온 변화에 대한 지연된 반응’**입니다.

몸은 이미 식었는데 덥다고 겉옷을 벗거나, 반대로 땀을 식히지 못해 저체온증이 오기도 합니다.

👉 실천 팁:

    • 레이어드 룩(3겹 원칙): 기본 + 보온 + 방풍
    • 속건성 이너웨어 필수
    • 점심 이후에는 체온 유지 위주로 복장 조절

아르메데스 남성용 반목터틀 긴팔 무지테크핏 언더레이어 AR-53


5. 낙엽길은 ‘마찰력 30% 감소’ — 미끄러짐 예방은 발보다 시선

가을 산길은 눈길처럼 미끄럽습니다.

특히 낙엽 밑에는 이끼 낀 바위나 젖은 흙이 숨어있죠.

사고를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**“발을 보지 말고, 발이 놓일 곳을 미리 보는 것”**입니다.

👉 실천 팁:

  • 발을 디딜 곳 1m 앞을 먼저 확인
  • 체중은 중심에 두고, 스텝은 짧게
  • 급경사 구간에서는 한 발씩 ‘붙이며’ 이동

6. ‘가을 감기’보다 무서운 건 ‘저혈당 실신’

가을은 공기가 차가워 호흡이 깊어집니다.

이때 에너지 소모가 많아지는데, 간식 없이 장시간 걷다 보면 혈당이 떨어져 어지럼증·실신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
👉 실천 팁:

  • 초콜릿·견과류·바나나 등 간단한 당질 휴대
  • 1시간 간격으로 소량 섭취
  • 배가 고프지 않아도 ‘조금씩 자주’ 먹기

7. 조난의 70%는 ‘혼자 등산’ — 동행이 없다면 ‘위치 공유’는 필수

가을은 솔로 산행이 늘어나는 시기입니다.

하지만 조난·실족 사고의 70% 이상이 단독 산행자에게서 발생합니다.

기술보다 중요한 건 ‘나를 찾을 수 있게 하는 준비’입니다.

👉 실천 팁:

  • 출발 전 가족·지인에게 코스 및 하산 시간 공유
  • 스마트폰 ‘긴급 구조요청 앱’ 설치 (예: 119 신고 앱, 안전신문고 등)
  • GPS 기능은 배터리 절약 모드로 유지

8. 자연은 언제나 ‘준비된 사람’에게만 미소 짓는다

가을 산행은 여름보다 평화로워 보이지만, 실제로는 자연의 변화가 가장 극심한 계절입니다.

‘조금만 더 괜찮겠지’라는 생각이 사고의 시작이죠.

산은 언제나 그 자리에 있지만, 우리가 맞닥뜨리는 산의 얼굴은 계절마다 다릅니다.

이 글을 읽은 당신이라면, 오늘의 산은 조금 더 안전할 겁니다. 🍂

 

※ 본 블로그의 모든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, 개인 상황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. 중요한 결정은 전문가의 도움과 함께 진행하시길 바랍니다.